환경

중고차 판매를 통한 환경 개선 기여

당사가 주로 영위하고 있는 중고차 매매와 렌터카 사업은 신차 생산 시 발생하는 자원과 이산화탄소의 감소 측면에서 가장 강력하고 효과적인 대안입니다. 지속적인 신제품의 생산은 필요 이상의 자원을 소비하며, 기존의 상품을 폐기 처리하는 과정은 환경적·사회적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습니다. 당사는 중고 차량을 상품화하여 시장에 재 유통하는 방법으로써 환경 개선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구분 3개년 누적 2024년 2023년 2022년
중고차 판매대수 439,922 154,185 142,978 142,759
감축 CO2 량(톤)[1] 1,187,789 416,300 386,041 385,449
상쇄 소나무 식재수[2] 8,908,421 3,122,246 2,895,305 2,890,870

[주1] 그린피스, 무너지는 기후: 자동차 산업이 불러 온 위기 Report, 차량 1대 폐차 시 이산화탄소 2.7t 발생

[주2] 국립산림과학원, 주요산림수종의 표준탄소 흡수량 Report, 배출 1 tCO2 상쇄에 필요한 수종별 식재 그루 수 계산 시 소나무 평균 7.5그루 필요(30년 수령 가정)

친환경 차량 판매 목표 설정

정부는 그린뉴딜, 2050 탄소중립 선언을 통해 2030년도까지의 무공해차 보급 목표를 450만 대(전기차 362만 대, 수소차 88만 대)로 한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정부 정책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2025년도까지의 친환경 차량 판매대수를 10%까지 늘리는 것으로 계획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2024년 기준 친환경 차량 판매 비중은 시장을 0.6%p 상회하였습니다.

구분 2024년 2023년 2022년
전체 중고차 시장[1] 전체 등록대수 2,539,874 2,553,785 2,527,819
친환경 차량 등록대수[2] 149,025 110,261 84,001
친환경 차량 비중(%) 5.9% 4.3% 3.3%
K Car 전체 판매대수[3] 154,185 142,978 142,759
친환경 차량 판매대수[2] 10,047 7,997 5,724
친환경 차량 비중(%) 6.5% 5.6% 4.0%

[주1] 출처: 국토교통부, 카이즈유 데이터연구소

[주2] 친환경 차량 등록 및 판매 대수에는 전기와 하이브리드 차량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주3] 케이카의 전체 판매대수에는 소매와 경매 판매대수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환경 경영 정책

기후변화의 위협과 에너지, 자원 등 환경 문제가 가시화되면서 환경 변화 대응을 위한 기업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케이카는 사회적 가치 실현과 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전사 차원의 환경 경영에 대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케이카는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기본적 보건·안전 정책 추진 이외에도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 할 것입니다.

케이카의 환경 경영 정책은 고객, 비즈니스 파트너,
주주 및 사회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행복을 위해
지속 가능한 환경을 만드는데 일조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케이카는 환경 친화적 기업 활동에 최선을 다하며, 기업 활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정적인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고,
사람과 환경 중심의 가치를 최우선적으로 추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환경 경영 방침을 수립해 실행하고 있습니다.

  •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 환경 관련 법규를 철저히 준수한다.
  • 환경경영 추진 과제의 세부 목표를 수립하고 정기적으로 평가한다.
  • 모든 임직원이 환경 경영 방침을 이해하도록 교육한다.
  • 환경 경영 방침은 고객, 구성원, 이해관계자에게 투명하게 공개한다.

에너지 절약 매장 구축

케이카는 오프라인 매장 구축 시 LED 조명 시스템을 설치해 전력 소비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매장 당 평균 450 개의 조명을 LED로 설치,
전환함으로써 상시적인 에너지 절약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또한 매장 내 도료, 자재 사용 시 친환경 인증제품을 사용해 고객과 임직원의 안전 및 건강을 최우선으로 보호하고 있습니다.

매장 당 평균 450개의 고효율 LED 사용, 일반 조명과 비교 시 하루 8시간, 주 6일 기준 1년에 약 2t의 이산화탄소 절감 효과

자원 사용량

구분 2024년 2023년 2022년
전사 용수사용량(t) 6,427 7,288 7,269
전사 전기사용량(kWh) 1,629,286 1,521,040 1,568,876
기말 매장 수[1] 17 17 18
매장당 용수사용량(t) 378 429 404
매장당 전기사용량(kWh) 95,840 89,473 87,160
매장당 증감률(용수) -11.8% 6.2% -5.4%
매장당 증감률(전력) 7.1% 2.7% 13.1%
온실가스 배출량(kWh)[2] 749 699 721

[주1] 상기 자료는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소매 지점 중 자원사용량 집계 및 관리가 가능한 매장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주2] 온실가스 배출량은 당사가 집계 가능한 Scope 2(간접 배출)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